요즘은 새로 자가용차를 구매하려는 사람들의 관심은 전기차와 자율주행 이 두 가지 일 것입니다. 그중에서도 이번 포스팅에선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자율주행을 진짜 손하나 까딱하지 않아도 되는 미래 최첨단의 기술인 것처럼 인식하고 있어 사고로 이어지는 사례가 점점 늘고 있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데 자율주행 자동차의 현주소를 한번 집고 넘어가는 기회를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율주행 자동차란?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지 않아도, IT기술을 이용하여 자동차가 스스로 실외환경 변화를 극복하고 장애물을 피하면서 원하는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자동차.
자율주행 자동차의 원리
차체에 내장되어 있는 내장 센서를 통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조합하는 것을 가장 기초로 하여3D 형상화한 뒤 물체에 맞고 돌아온 시간을 계산하여 그 거리 값을 알아낸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하고 빠르고 강력한 연산능력을 가진 내장 칩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는데, 자율주행 칩들은 대부분 CPU, ISP, 가 하나로 합쳐진 단일 칩(SoC : 하나의 칩에 여러 시스템 <연산, 저장, 신호변환 등>을 한 번에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단일 칩 반도체) 사용하여 연상 능력을 향상하고, 이렇게 향상된 능력을 통해 주변 사물과 지형을 파악해 스스로 조절하고 운전할 수 있도록 합니다.
자율주행 자동차 레벨
레벨 | 자동화 상태 | 주행제어 (조향/가감속) | 운전환경 감시 | 차량운행 주체 |
레벨 0 | 자동화 기능 없음 | 운전자가 직접 | 운전자가 직접 | 운전자가 직접 |
레벨 1 | 운전자 보조 | 운전자가 보조 | 운전자가 직접 | 운전자가 직접 |
레벨 2 | 부분 자동화 | 자동차가 직접 | 운전자가 직접 | 운전자가 직접 |
레벨 3 | 조건부 자동화 | 자동차가 직접 | 자동차가 직접 | 운전자가 직접 |
레벨 4 | 고도 자동화 | 자동차가 직접 | 자동차가 직접 | 자동차가 직접 |
레벨 5 | 완전 자동화 | 자동차가 직접 | 자동차가 직접 | 자동차가 직접 |
*주행 제어:
*운전환경 감시: 신호 장애물 등 환경 감시
*차량 운행: 운전시스템개입여부
레벨 1의 경우 우리가 과거에 타고 다니던 자동차의 상태로 운전자가 모든 상황에 개입을 하여 직접 운전을 해야 하는 상태입니다.
레벨 1과 2의 경우 특정 기능은 자동화가 되어 있지만 운전자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한 상태를 말하며, 레벨 3의 경우 정해진 조건에서는 자동차가 직접 주행이 가능하지만 자율주행 한계 조건에 도달하면 운전자가 주행에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하는 상태입니다.
4와 5 레벨의 차이는 레벨 4의 경우 운전자의 개입이 불필요한 상태이지만 도로의 환경을 벗어난 경우 운전자의 주행 개입이 필요한 상태이고, 레벨 5는 운전자 자체가 불필요한 상태의 수준을 뜻합니다.
자율주행 자동차 순위
순위 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1 | GM | 웨이모 (구글) | 웨이모 (구글) | 웨이모 (구글) |
2 | 웨이모 (구글) | 크루즈 (GM) | 포드 | 엔비디아 |
3 | 다임러-보쉬 | 포드 | 크루즈 (GM) | 아르고AI(포드·폭스바겐) |
4 | 포드 | 앱티브 | 바이두 | 바이두 |
5 | 폴크스바겐 | 인텔-모빌아이 | 인텔-모빌아이 | 크루즈 |
6 | BMW·인텔·피아트크라이슬러 | 폴크스바겐 | 앱티브-현대자동차 | 모셔널(현대차그룹-앱티브) |
7 | 앱티브 | 다임러-보쉬 | 폴크스바겐 | 모빌아이 |
8 | 르노-닛산 | 바이두 | 얀덱스 | 오로라 |
9 | 볼보-오토리브-제누이티-에릭슨 | 도요타 | ZOOX | 죽스 |
10 | 푸조시트로엥 | 르노-닛산-미쓰비시 | 다임러-보쉬 | 뉴로 |
: | : | : | ||
15 | 앱티브-현대자동차 | 앱티브-현대자동차 |
3년 연속 1위를 지키고 있는 웨이모는 자율주행 누적거리가 약 4,800만 km를 넘어섰고, 그에 따른 방대한 누적 데이터 덕에 자율주행 택시 ‘웨이모원’‘웨이 모원’을 현실에 적용시키며 지키고 있습니다.
다른 나라의 눈에 띄는 급성장 회사들도 보이지만 요독 눈에 띄는 부분은 우리나라 현대자동차도 2018년과 2019년에 비해 높은 순위 상승이 있었다는 건데요, 현제 현대차는 미국 자율주행 전문기업 앱티브와 자율주행 벤처 설립을 발표하여 레벨 4·5 수준의 자율주행 플랫폼을 공동으로 개발하고 이를 다른 완성차 업체나 자율주행 스타트업에 판매한다는 계획을 내봤다고 합니다.
자율주행 자동차 사고 및 책임
자율주행 자동차의 사고에 대한 뉴스는 한 번쯤 들어보셨을 텐데요. 사람의 참여가 필요한 레벨의 수준에서는 시시비비를 통해 일정 부분 책임 소재를 따질 수 있었으나, 레벨 4 수준의 자율주행 시대가 오면 그 책임을 운전자에게 물어야 할지 자동차를 만든 회사에 물어야 할지 제도나 법, 보험의 정비가 시급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2022년을 기준으로 레벨 0~2 수준의 자율주행 차가 보급되고 있는 가운데 레벨 1~2 수준의 경우 차량이 직접 운전하는 경우보다 운전자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는 부분에서 사고가 났을 경우 책임을 묻기가 쉬우나, 레벨 3 수준의 자율주행 차의 경우 운전자의 개입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사고가 난 상황 이외에 사고가 났을 때 어느 정도 운전자에게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해 국가 차원뿐 아니라 보험회사에서도 ‘레벨 3 자율주행차 보험’에 관해 내놓을 예정이라고 합니다.
지금 여러 자동차 회사 혹은 개발 팀에서 레벨 4단계를 시범 운행하고 있다고 하니 법규 마련이 시급하겠습니다.
자율주행 자동차의 장점과 단점
사람이 운전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해 준다는 점에서 가장 큰 장점을 꼽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음주운전이나 졸음운전 속도위반 신호위반과 같은 위법행위로부터 사람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지요.
또한 과속으로 인한 연료 낭비를 막아 유지비용과 환경오염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으며, 타지 않는 시간 동안 자율주행기능으로 부수입원을 창출하거나, 혹은 차량을 소유하지 않고 필요할 때만 이용할 수 있는 비용절감이 가능하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아직 사람이 운전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 아니다 로 시시비비가 갈리곤 하는데요, 자율주행 시스템에 결함이 생겨 발생하는 사고나, 자동화 프로그램의 해킹 등 보안 문제도 아직 걱정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자동화 운전 도입에 의해 발생하는 실업자들이 생기는 경제적 손실과 일자리 혼란 또한 걱정해 볼만한 일이겠습니다.
자율주행차 관련된 대장 주 7 종목
1. 라닉스
- 자율주행 자동차 운행 시 필요한 보안용 시스템 반도체를 만들고 있는 회사입니다.
(V2X분야 기술도 개발 중))
- 2021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36% 감소, 영업손실은 97.1% 증가, 당기순손실은 135.9% 증가하였습니다.
- 플랫폼·네트워크 및 애플리케이션 보안을 지원하는 AII-in-One 보안 칩 개발사업 추진 중입니다..
2. 모트렉스
- 자율주행 자동차를 타깃으로 HUD, DashCam 등을 개발.
- 2021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매출 약은 2.6% 증가, 영업이익은 55.6%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 전환하였습니다..
- 음성처리 기술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접목한 제품들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3. 텔레칩스
-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부품들을 제조하고 있습니다.
- 2021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13% 증가, 영업손실은 50% 감소 당기순손실은 64.5% 감소하였습니다.
- IVI시장에서의 이익 극대화를 위해 중국, 일본 등 해외시장을 공략하려고 진행 중입니다..
4. 만도
- 자율주행 자동차에 들어가는 레이더와 카메라를 개발 및 생산하고 있습니다.
- 2021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14.6% 증가, 영업이익은 288% 증가하였고 당기순이익은 489.2% 증가하였습니다.
- 해외 OEM법인의 지속적인 수주를 통해 유럽시장 매출 향상 및 각국의 수주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5. 칩스 앤 미디어
- 자율주행 자동차에 이용되는 영상처리 반도체의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2021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58.1% 증가하였고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되어 당기 순이익 또한 흑자 전환되었습니다..
- 저해상도의 영상을 고해상도 영상으로 끌어올려주는 기능을 개발하였고, 그에 따른 매출이 본격화되어가고 있습니다.
6. LG이노텍
-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카메라 모듈의 개발과 제조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2021년 3월 전년 동기 매출액은 55.6% 증가하였고 영업이익은 97.3%, 당기순이익은 212% 증가하였습니다.
- 광학솔루션 부문을 앞 장세 워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등장시키고 그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7. 인포뱅크
- 자율주행 자동차의 오디오, 비디오, 내비게이션 콘텐츠 및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 2021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9.8% 증가하였고, 영업이익은 56.7프로 증가, 당기순이익은 135.5% 증가하였습니다.
- 배타적인 사용권을 기반으로 기술적, 영업적으로 좋은 신규 서비스를 개발하고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가치가 올라갈 자율주행 자동차!
완벽하게 사람이 운전대에서 손을 놓게 되는 시대가 기대됩니다.
댓글